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을 통한 애플리케이션 관리

improve this page | report issue

개요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을 통해 앱을 잠그거나, 액세스를 거부하거나,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여 MobileFirst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음 URL 중 하나를 입력하여 콘솔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프로덕션 또는 테스트용 보안 모드: https://hostname:secure_port/mfpconsole
  • 개발: http://server_name:port/mfpconsole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권한이 부여된 로그인과 비밀번호가 있어야 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MobileFirst Server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증 구성을 참조하십시오.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에서 Analytics 콘솔에 액세스하고 Analytics 서버가 분석할 모바일 데이터의 수집을 제어할 수도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에서 데이터 콜렉션 사용 또는 사용 안함을 참조하십시오.

다음으로 이동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관리

MobileFirst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관리 기능을 통해 MobileFirst Server 운영자와 관리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액세스 권한과 디바이스 액세스 권한을 세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MobileFirst Server는 사용자의 모바일 인프라에 대한 모든 액세스 시도를 추적하고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합니다.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디바이스 간 맵핑은 서버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관리 기능에 대한 기초를 형성합니다.

IBM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을 사용하여 사용자 자원에 대한 액세스를 모니터하고 관리하십시오.

  • 이름으로 사용자를 검색한 후 해당 사용자가 자원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 중인 디바이스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합니다.
  • 표시 이름으로 디바이스를 검색한 후 디바이스와 연관된 사용자, 이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등록된 MobileFirst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합니다.
  • 특정 디바이스에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인스턴스에서 자원에 액세스하는 것을 차단합니다. 이 기능은 디바이스가 손실되거나 디바이스를 도난당한 경우 유용합니다.
  • 특정 디바이스에 있는 특정 애플리케이션만 자원에 액세스하지 못하도록 차단합니다. 예를 들어 직원의 부서가 변경된 경우 이전 부서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직원의 액세스는 차단하지만 동일한 디바이스에 있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루어지는 직원 액세스는 허용할 수 있습니다.
  • 디바이스의 등록을 취소하고 디바이스에 대해 수집된 모든 등록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액세스 차단에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습니다.

  • 차단 조작은 가역적입니다.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에서 디바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변경하여 차단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차단은 보호된 자원에만 적용됩니다. 차단된 클라이언트도 여전히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보호되지 않은 자원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보호되지 않은 자원을 참조하십시오.
  • 이 조작을 선택하면 MobileFirst Server의 어댑터 자원에 대한 액세스가 즉시 차단됩니다. 하지만 애플리케이션에 아직 만료되지 않은 유효한 액세스 토큰이 있을 수 있으므로 외부 서버에 있는 자원의 경우에는 이 특성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디바이스 상태

MobileFirst Server는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든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유지보수합니다. 상태 값은 활성, 손실, 도난, 만료, 사용 안함 중 하나입니다.

기본 디바이스 상태는 활성으로 이 디바이스의 액세스가 차단되지 않음을 표시합니다. 상태를 손실, 도난 또는 사용 안함으로 변경하여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자원에 액세스하지 못하게 차단할 수 있습니다. 언제든지 활성 상태를 복원하여 다시 액세스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습니다.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에서 디바이스 액세스 관리를 참조하십시오.

만료 상태는 디바이스가 이 서버 인스턴스에 마지막으로 연결된 이후 사전 구성된 비활동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MobileFirst Server에서 설정하는 특수한 상태입니다. 이 상태는 라이센스 추적에 사용되며 디바이스의 액세스 권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만료 상태의 디바이스가 서버에 다시 연결되면 디바이스 상태가 활성으로 복원되고 서버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디바이스에 부여됩니다.

디바이스 표시 이름

MobileFirst Server는 MobileFirst 클라이언트 SDK에서 지정하는 고유 디바이스 ID로 디바이스를 식별합니다. 디바이스의 표시 이름을 설정하면 해당 표시 이름으로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WLClient 클래스의 setDeviceDisplayName 메소드를 사용하여 디바이스 표시 이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MobileFirst 클라이언트 측 APIWLClient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JavaScript 클래스는 WL.Client입니다.) Java 어댑터 개발자(보안 검사 개발자 포함)는 com.ibm.mfp.server.registration.external.model MobileDeviceData 클래스의 setDeviceDisplayName 메소드를 사용하여 디바이스 표시 이름을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MobileDeviceData를 참조하십시오.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에서 디바이스 액세스 관리

자원에 대한 디바이스 액세스를 모니터하고 관리하려면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 대시보드에서 디바이스 탭을 선택하십시오.

디바이스와 연관된 사용자 ID 또는 디바이스의 표시 이름(설정되어 있는 경우)으로 디바이스를 검색하려면 검색 필드를 사용하십시오. 디바이스 표시 이름을 참조하십시오. 사용자 ID 또는 디바이스 표시 이름의 일부(3자 이상)를 검색할 수도 있습니다.

검색 결과에는 지정된 사용자 ID 또는 디바이스 표시 이름과 일치하는 모든 디바이스가 표시됩니다. 각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ID와 표시 이름, 디바이스 모델, 운영 체제, 디바이스와 연관된 사용자 ID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디바이스 상태 열에는 디바이스의 상태가 표시됩니다. 디바이스의 상태를 손실, 도난 또는 사용 안함으로 변경하여 디바이스에서 보호된 자원에 액세스하지 못하게 차단할 수 있습니다. 상태를 다시 활성으로 변경하면 원래 액세스 권한이 복원됩니다.

조치 열에서 등록 취소를 선택하여 디바이스의 등록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디바이스의 등록을 취소하면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MobileFirst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데이터가 삭제됩니다. 또한 디바이스 표시 이름, 디바이스와 연관된 사용자 목록, 애플리케이션에서 이 디바이스에 대해 등록한 공용 속성도 삭제됩니다.

참고: 등록 취소 조치는 되돌릴 수 없습니다. 다음에 디바이스의 MobileFirst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에서 서버에 액세스하려고 하면 해당 디바이스가 새 디바이스 ID로 다시 등록됩니다. 디바이스를 다시 등록하도록 선택하면 디바이스 상태가 활성으로 설정되고 해당 디바이스는 이전 차단과 관계 없이 보호된 자원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디바이스를 차단하려면 해당 디바이스의 등록을 취소하지 마십시오. 대신 디바이스 상태를 손실, 도난 또는 사용 안함으로 변경하십시오.

특정 디바이스에 액세스한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보려면 디바이스 테이블의 디바이스 ID 옆에 있는 펼치기 화살표 아이콘을 선택하십시오.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테이블의 각 행에는 애플리케이션의 이름과 애플리케이션의 액세스 상태(이 디바이스에 있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보호된 자원에 액세스할 수 있는지 여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사용 안함으로 변경하여 명확히 이 디바이스에 있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액세스하지 못하게 차단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이동

보호된 자원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액세스를 사용 안함으로 원격 설정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콘솔)을 사용하여 특정 모바일 운영 체제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버전에 대한 사용자 액세스를 사용 안함으로 설정하고 사용자에게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콘솔 탐색 사이드바의 애플리케이션 섹션에서 애플리케이션 버전을 선택한 후 애플리케이션 관리 탭을 선택하십시오.
  2. 상태를 액세스 사용 안함으로 변경하십시오.
  3. 최신 버전의 URL 필드에서 선택적으로 최신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URL을 제공하십시오(일반적으로 해당 공용 또는 개인용 앱 스토어에 있음). 일부 환경에서는 Application Center에서 애플리케이션 버전의 세부사항 보기에 직접 액세스할 수 있도록 URL을 제공합니다. 애플리케이션 특성을 참조하십시오.
  4. 기본 알림 메시지 필드에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하려고 할 때 표시할 사용자 정의 알림 메시지를 추가하십시오. 다음 샘플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도록 지시합니다.

    이 버전은 더 이상 지원되지 않습니다. Please upgrade to the latest version.
    
  5. 지원되는 로케일 섹션에서 선택적으로 다른 언어로 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6. 변경사항을 적용하려면 저장을 선택하십시오.

사용자가 사용 안함으로 원격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사용자 정의 메시지가 포함된 대화 상자 창이 표시됩니다. 이 메시지는 보호된 자원에 대한 액세스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상호작용이 발생하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 액세스 토큰을 획득하려고 하는 경우에 표시됩니다. 버전 업그레이드 URL을 제공한 경우에는 대화 상자에 기본 닫기 단추 외에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할 새 버전 가져오기 단추도 포함됩니다. 버전을 업그레이드하지 않고 대화 상자를 닫으면 보호된 자원에 대한 액세스가 필요 없는 애플리케이션 파트 관련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호된 자원에 대한 액세스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다시 대화 상자 창이 표시되고 애플리케이션에 해당 자원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부여되지 않습니다.

관리자 메시지 표시

설명된 프로시저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구성하십시오. 이 메시지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에게 계획된 서비스 작동 중지 시간과 같은 임시 상황에 대해 알릴 수 있습니다.

  1.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 탐색 사이드바의 애플리케이션 섹션에서 애플리케이션 버전을 선택한 후 애플리케이션 관리 탭을 선택하십시오.
  2. 상태를 활성 및 알림으로 변경하십시오.
  3. 사용자 정의 시작 메시지를 추가하십시오. 다음 샘플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계획된 애플리케이션 유지보수 작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계획된 유지보수 작업으로 인해 토요일 오전 4시부터 오후 6시까지 서버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4. 지원되는 로케일 섹션에서 선택적으로 다른 언어로 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5. 변경사항을 적용하려면 저장을 선택하십시오.

이 메시지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먼저 MobileFirst Server를 사용하여 보호된 자원에 액세스하거나 액세스 토큰을 얻는 경우에 표시됩니다.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될 때 액세스 토큰을 획득하는 경우 이 단계에서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애플리케이션에서 처음으로 보호된 자원에 대한 액세스 또는 액세스 토큰 획득을 요청할 때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이 메시지는 처음 상호작용할 때 한 번만 표시됩니다.

다중 언어로 관리자 메시지 정의

참고: Microsoft Internet Explorer(IE)와 Microsoft Edge에서는 구성된 브라우저 또는 운영 체제의 표시 언어 환경 설정이 아니라 운영 체제의 지역 형식 환경 설정에 따라 관리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IE 및 Edge 웹 애플리케이션 제한사항을 참조하십시오.

설명된 프로시저를 수행하여 콘솔을 통해 정의한 애플리케이션 관리 메시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할 다중 언어를 구성하십시오. 메시지는 디바이스의 로케일을 기반으로 전송되며 모바일 운영 체제에서 로케일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1.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 탐색 사이드바의 애플리케이션 섹션에서 애플리케이션 버전을 선택한 후 애플리케이션 관리 탭을 선택하십시오.
  2. 활성 및 알림 또는 액세스 사용 안함 중에서 상태를 택하십시오.
  3. 로케일 업데이트를 선택하십시오. 표시된 대화 창의 파일 업로드 섹션에서 업로드를 선택한 후 로케일을 정의하는 CSV 파일 위치를 찾아보십시오.

    CSV 파일의 각 행에는 쉼표로 구분된 문자열 쌍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문자열은 로케일 코드(예: 프랑스어(프랑스)의 경우 fr-FR, 영어의 경우 en)이고 두 번째 문자열은 해당 언어로 된 메시지 텍스트입니다. 지정된 로케일 코드는 모바일 운영 체제에서 로케일을 지정하는 데 사용하는 표준(예: ISO 639-1, ISO 3166-2, ISO 15924)을 준수해야 합니다.

    참고: CSV 파일을 작성하려면 메모장과 같이 UTF-8 인코딩을 지원하는 편집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은 동일한 메시지를 다중 로케일로 정의하는 샘플 CSV 파일입니다.

    en,Your application is disabled
    en-US,Your application is disabled in US
    en-GB,Your application is disabled in GB
    fr,votre application est désactivée
    he,האפליקציה חסמומה
    
  4. 알림 메시지 확인 섹션에서 CSV 파일의 로케일 코드와 메시지 테이블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시지를 확인한 후 확인을 선택하십시오. 언제든지 편집을 선택하여 로케일 CSV 파일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옵션을 사용해서 비어 있는 CSV 파일을 업로드하여 모든 로케일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5. 변경사항을 적용하려면 저장을 선택하십시오.

디바이스의 로케일에 따라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자국어로 지원된 알림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디바이스 로케일에 맞게 구성된 메시지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공한 기본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애플리케이션 상태 및 토큰 라이센싱

충분하지 않은 토큰으로 인한 Blocked 상태 후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에서 올바른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수동으로 복원해야 합니다.

토큰 라이센싱을 사용하고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충분한 라이센스 토큰이 더 이상 없는 경우에는 모든 애플리케이션 버전의 애플리케이션 상태가 Blocked로 변경됩니다. 애플리케이션 버전의 상태를 더 이상 변경할 수 없습니다.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에 다음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센스가 만료되어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차단됨

나중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충분한 토큰이 사용 가능해지거나 조직에서 추가 토큰을 구입하는 경우 다음 메시지가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에 표시됩니다.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센스가 만료되어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차단되었으나 현재 하나의 라이센스가 사용 가능합니다.

표시 상태는 여전히 Blocked입니다. 상태 필드를 편집하여 메모리 또는 사용자 고유 레코드에서 수동으로 올바른 현재 상태를 복원해야 합니다. Mobile Foundation은 충분하지 않은 라이센스 토큰으로 인해 차단된 애플리케이션의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에서 Blocked 상태의 표시를 관리하지 않습니다. 사용자가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을 통해 표시할 수 있는 실제 상태로 차단된 애플리케이션을 복원해야 합니다.

런타임 환경에서 조작의 오류 로그

오류 로그를 사용하여 선택된 런타임 환경의 명령행 또는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에서 시작된 실패한 관리 조작에 액세스하고 실패가 서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트랜잭션에 실패하면 상태 표시줄에 오류 알림이 표시되고 오류 로그에 대한 링크가 표시됩니다. 오류에 대한 추가 세부사항(예: 특정 오류 메시지가 포함된 각 서버의 상태) 또는 오류의 히스토리를 보려면 오류 로그를 사용하십시오. 오류 로그에는 최근 조작이 먼저 표시됩니다.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에서 런타임 환경의 오류 로그를 클릭하여 오류 로그에 액세스합니다.

실패한 조작을 나타내는 행을 펼쳐 각 서버의 현재 상태에 대한 자세한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전체 로그에 액세스하려면 로그 다운로드를 클릭하여 로그를 다운로드하십시오.

콘솔의 오류 로그

관리 조작의 감사 로그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에서 관리 조작의 감사 로그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MobileFirst Operations Console은 로그인, 로그아웃, 모든 관리 조작(앱 또는 어댑터 배치, 앱 잠금 등)의 감사 로그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합니다. MobileFirst 관리 서비스의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mfp.admin.audit JNDI(Java Naming and Directory Interface) 특성을 false로 설정하여 감사 로그를 사용 안함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감사 로그에 액세스하려면 헤더 표시줄에서 사용자 이름을 클릭하고 정보를 선택한 다음 추가 지원 정보를 클릭한 후 감사 로그 다운로드를 클릭하십시오.

필드 이름 설명
시간소인 레코드가 작성된 날짜 및 시간입니다.
유형 조작의 유형입니다. 가능한 값은 아래의 조작 유형 목록을 참조하십시오.
사용자 로그인한 사용자의 사용자 이름입니다.
결과 조작의 결과입니다. 가능한 값은 SUCCESS, ERROR, PENDING입니다.
오류 코드 결과가 ERROR인 경우 ErrorCode는 오류 내용을 표시합니다.
런타임 조작과 연관된 MobileFirst 프로젝트의 이름입니다.

다음 목록은 조작 유형의 가능한 값을 표시합니다.

  • Login
  • Logout
  • AdapterDeployment
  • AdapterDeletion
  • ApplicationDeployment
  • ApplicationDeletion
  • ApplicationLockChange
  • ApplicationAuthenticityCheckRuleChange
  • ApplicationAccessRuleChange
  • ApplicationVersionDeletion
  • add config profile
  • DeviceStatusChange
  • DeviceApplicationStatusChange
  • DeviceDeletion
  • unsubscribeSMS
  • DeleteDevice
  • DeleteSubscriptions
  • SetPushEnabled
  • SetGCMCredentials
  • DeleteGCMCredentials
  • sendMessage
  • sendMessages
  • setAPNSCredentials
  • DeleteAPNSCredentials
  • setMPNSCredentials
  • deleteMPNSCredentials
  • createTag
  • updateTag
  • deleteTag
  • add runtime
  • delete runtime
Inclusive terminology note: The Mobile First Platform team is making changes to support the IBM® initiative to replace racially biased and other discriminatory language in our code and content with more inclusive language. While IBM values the use of inclusive language, terms that are outside of IBM's direct influence are sometimes required for the sake of maintaining user understanding. As other industry leaders join IBM in embracing the use of inclusive language, IBM will continue to update the documentation to reflect those changes.
Last modified on June 29, 2020